삼국사기의 금환일식과 부분일식, 개기일식의 의미 <그레이티스트 이클립스, 이클립스, greatest eclipse, 금환일식 뜻, 개기일식 뜻, 금환일식 의미, 개기일식 시기, 한반도 개기일식, 우리나라 개..
본문 바로가기

천문⋆별자리 이야기

삼국사기의 금환일식과 부분일식, 개기일식의 의미 <그레이티스트 이클립스, 이클립스, greatest eclipse, 금환일식 뜻, 개기일식 뜻, 금환일식 의미, 개기일식 시기, 한반도 개기일식, 우리나라 개..

일식에는 금환일식과 부분일식 그리고 개기일식 등이 있다.

 

삼국사기 신라의 일식 관측 기록에 대한 내용을 기반으로 금환일식과 부분일식 그리고 개기일식에 대해서 다뤄본다.

 

그리고 삼국사기에 기록된 천문 관측 일지가 신라의 수도가 대륙에 있었다는 가설을 뒷받침 하는 자료로서 왜 부족한지에 대해서도 언급하겠다.  

 

출처 이미지 nasa elipse web site

 

우선 위 이미지는 2020년 6월 21일 일식 진행 경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중간에 빨간선이 일식의 진행 경로도 인데 빨간선은 Greatest Eclipse, 즉 금환일식 (달 전체가 태양안에 100% 들어오는 정도)을 의미한다. 서쪽 아프리카 일대에서부터 파키스탄 - 인도 - 중국남부 - 대만의 일부 지역이 최적관측지(금환일식이 관측되는 지역)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녹색 지역으로 표시되는 지역이 식분도를 나타내는 것인데 금환일식이 아닌 부분일식이 관측되는 지역 이다. 부분일식은 달이 태양의 일부를 가리는 것이다. 

 

금환일식 라인 위쪽 지역으로 갈수록 %(퍼센트)가 낮게 측정되고 빨간색라인으로 근접하는 지역일수록 식분도 높음 일식을 관찰할수 있다. 

 

반응형

 

아래 사진은 2020년 6월 21일에 국립전북기상과학관에서 관측된 부분일식 동영상이며 우리나라에선 부분일식으로 관측되었다. 그에 반면 대만에서는 금환일식이 관측되었다.

 

국내 관측지 전라북도에서 대만까지 (1437km = 일식관측반경) 실제로는 더 넓음

 

삼국사기에는 일식이 관측되었다는 내용은 있어도 일식의 식분도에 대한 언급은 없다. 금환일식 이거나 개기일식이거나 부분일식이거나 하는 내용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것이다.

 

<삼국사기 中 번역본 일식기록 내용 발췌>

11년 여름 6월 그믐 일사일에 일식이 있었다.

12년 봄 정월 초하루 신해일에 일식이 있었다.
10년 봄 정월 초하루 갑인일에 일식이 있었다.
11년 여름 6월 그믐 을사일에 일식이 있었다.


9월 초하루 경오일에 일식이 있었다.
3월 초하루 정묘일에 일식이 있었다.
겨울 10월 그믐에 일식이 있었다.
.
.
.

등등

 

 

위 그림은 일식이 일어날 때 달의 그림자가 비춰지는 영역을 표시한다. 금환식이 일어나는 지역은 일부에 국한하고 나머지 반그림자 표시한 영역이 부분일식이 관측되는 지역이다. 

 

아래 그림에서 볼수 있듯이 부분일식의 관측 범위는 방대하다는걸 알수있다.

 

&amp;amp;amp;amp;amp;amp;amp;amp;nbsp;김정민 박사가 참고한 금환일식의 관측 도표도

 

빨간색 라인이 '금환일식' 을 관측할수 있는 지역이고 파란색 라인은 '개기일식' 을 관측할수 있는 지역이다. 

 

(가령 동일시기 금환식이 양자강 지역이었다면) 양자강 유역에서만 일식을 관찰할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서도 일식은 관찰할수 있었다. 다만 그것이 금환일식이 아니라 부분일식이었으며 삼국사기의 일식기록 형식으로 봐선 관측지가 한반도일 확률이 크다는 것을 추측할수 있다. 

 

 

아래 사진은 향후 2035년 9월 2일 개기일식을 관측할수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표시한다. 

 

 

보시다시피 파란색 라인은 개기일식을 관측할수 있는 지역이다. 

 

유라시아 지역에서 시작되어 평양 그리고 우리나라는 강원도 철원 지역을 살짝 걸쳐 일본에서도 관측할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 녹색과 파란색의 위도 경도라인에 들어오는 지역이 개기일식에 대한 부분일식을 관측할수 있는 지역이다. 서울에서도 완벽하진 않지만 식분도 90%정도에 해당하는 부분일식을 관찰할수 있겠다.

 

2035년 이전에 통일을 하거나 남한에서 북한으로 여행이 가능이 가능하다면 평양에 엄청난 관광객이 몰릴것으로 예상된다. 

 

 

정리하자면 삼국사기에 기록된 일식 관측기록은 부분일식과 금환일식 등 모든 관측에 대한 것일수 있으며 분명한 사실은 양자강 유역은 최적관측지 즉, 금환일식이 관측되던 지역이란걸 알 수 있다.

 

같은 시기에.. 양자강 유역에서만 일식을 관찰할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신라,고구려,백제 모든 한반도 지역에서도 일식을 관측할수 있었다. 

삼국사기는 그 부분에 대한 기록을 서술한 것이다. 

 

이는 양자강 유역에 신라의 수도 및 영토가 있었다는 주장을 뒷받침 하는 근거로서 삼국사기의 일식관측기록 만으로 가설을 증명하기엔 역부족해 보인다. (물론 문화나 지명, 발굴된 유물은 그 근거를 뒷받침할수 있는 자료로 충분해 보인다)